진료시간안내
- 월화수목금 09:00 ~ 19:00
- 토요일 09:00 ~ 14: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공휴일,일요일 휴진합니다.
홈으로
척추관협착증vs허리디스크… 비슷한 듯 다른 두 질환, 어떻게 치료할까?
척추 관련 질환 중 가장 흔하게 언급되는 것이 척추관협착증과 허리디스크입니다. 두 질환 모두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일으키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기 쉽습니다. 그러나 원인과 진행 양상, 그리고 치료 방향에서 차이가 있어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기 발견을 통해 알맞은 치료를 받는다면 삶의 질을 크게 지킬 수 있습니다.
두 질환, 이렇게 다릅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내부의 신경 통로가 좁아져 신경이 눌리는 상태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주로 중장년층 이상에서 많이 나타나며, 서 있거나 걸을 때 다리에 저림이나 통증이 심해지고, 앉으면 증상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가 제 위치에서 밀려나 신경을 누르는 상태입니다. 잘못된 자세, 무거운 물건을 드는 행동, 외상 등으로 젊은 층에서도 흔히 나타납니다.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로 뻗어 내려가는 방사통이 특징적이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이점에 따른 치료 접근
척추관협착증은 신경 통로 자체가 좁아진 것이 원인인 만큼, 초기에는 물리치료와 도수치료로 허리와 다리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필요시 체외충격파 치료를 통해 염증을 완화하고, 통증 감소와 회복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신경이 눌리는 압박을 줄여주는 데 초점을 두는 치료가 주가 됩니다.
허리디스크는 튀어나온 디스크로 인해 신경이 직접 눌리므로, 손상된 부위의 염증을 줄이고 신경 자극을 완화하는 치료가 중요합니다. 이때 물리치료와 함께 도수치료를 통해 척추 정렬을 조정하고, 필요에 따라 주사치료로 관절의 부담을 줄여 증상을 완화합니다.
생활 속에서 지킬 수 있는 방법
척추관협착증은 연령에 따른 퇴행성 변화가 주된 원인이기 때문에 완전히 예방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정기적인 검진과 허리 근육 강화 운동을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과도한 서 있거나 걷기보다는 척추에 부담을 덜 주는 가벼운 운동이 적합하며, 증상이 반복된다면 조기에 전문적인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허리디스크는 생활 습관과 직접적인 관련이 크기 때문에 동작 교정이 핵심입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무릎을 굽혀 힘을 분산하고, 장시간 앉아 있을 때는 허리에 지지대를 두어 척추 압박을 줄여야 합니다. 초기 통증을 단순 피로로 넘기지 말고, 염증이 지속된다면 전문 치료와 병행해 관리하는 것이 장기적인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두 질환 모두 생활 속 실천과 조기 치료가 함께 이루어질 때 효과적인 회복과 재발 방지가 가능합니다. 작은 신호를 놓치지 않고 전문적인 접근을 더하는 것이 척추 건강을 지키는 핵심입니다.